티스토리 뷰

손위 시누이 남편 호칭과 가족 호칭 정리
시누이 남편 호칭의 올바른 답
손위 시누이 남편 호칭과 가족 호칭 정리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결혼 후 시댁 식구들을 만나면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게 바로 호칭 문제예요. 특히 시누이 남편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몰라서 당황스러운 경험, 한 번쯤은 있으셨을 거예요. 전에 한 친구가 "시누이 남편한테 뭐라고 인사해야 하는지 몰라서 그냥 고개만 끄덕이고 지나갔다"고 하더라고요 ^^
사실 손위 시누이 남편 호칭과 가족 호칭 정리는 생각보다 명확한 규칙이 있어요. 국립국어원에서 1992년에 공식적으로 정리한 표준 호칭이 있거든요!
이 문제가 복잡한 이유는 전통적으로 시누이의 남편과 처남댁은 서로 만날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에요. 조선시대에는 내외법이 엄격해서 이런 관계끼리는 아예 말을 나누지도 않았죠.



손위 시누이 남편은 아주버님
제가 결혼 초기에 직접 경험해봤는데, 손위 시누이 남편은 무조건 아주버님이라고 불러야 해요. 이건 국립국어원에서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호칭이거든요.
아주버님이라는 호칭을 쓰는 이유가 있어요. 남편의 형을 부르는 호칭과 동일한데, 이는 시누이의 남편도 남편의 형과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죠. 근데 처음엔 좀 어색하더라고요 ㅎㅎ
실제로 서울, 경기 등 중부 지방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서 이미 시누이의 남편을 아주버님이라고 부르고 있어요. 그래서 표준 호칭으로 정해진 거죠.



손아래 시누이 남편은 서방님
반면 손아래 시누이 남편은 서방님이라고 불러야 해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국립국어원의 공식 권장사항입니다.
서방님이라는 호칭은 전통적으로 중부 지방에서 시누이의 남편을 가리킬 때 많이 썼던 말이에요. '운니동 서방님' 같은 식으로 말이죠. 그래서 손아래 시누이 남편의 호칭으로 채택된 거예요.
근데 여기서 중요한 건, 일부 사람들이 서방님을 남편에게만 쓰는 줄 아는데 그렇지 않아요. 남편의 동생을 부르는 말과도 같기 때문에 손아래 시누이 남편의 호칭으로도 적절한 거죠.



나무위키 시누이 문서에서도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헷갈리는 시댁 호칭 완전 정리



시댁 호칭이 이렇게 복잡한 이유가 뭘까요?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는 남성 중심의 가족 문화였기 때문에 시댁 쪽 호칭이 더 세분화되고 체계적으로 발달했거든요.
게다가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유교적 성관념이 왜곡되면서 현재의 복잡한 호칭 체계가 자리잡게 된 거예요. 실제로는 원래 그렇게 극단적이지 않았다고 해요.



시부모와 시동서 호칭법
기본적으로 시아버님과 시어머님은 모든 며느리가 알고 있는 호칭이죠. 하지만 실제로는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아요. 저도 처음엔 시아버님이라고 했는데, 시어머니께서 그냥 아버님이라고 하라고 하시더라고요.
남편의 형은 아주버님, 남편의 동생은 미혼일 때 도련님, 기혼일 때 서방님이에요. 단, 본인보다 나이가 어린 기혼 남동생은 'O서방'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남편의 형수는 형님, 남편의 제수는 동서라고 불러요. 이건 비교적 쉬운 편이죠?



관계 | 호칭 | 지칭 |
---|---|---|
남편의 아버지 | 아버님 (시아버님) | 시아버님 |
남편의 어머니 | 어머님 (시어머님) | 시어머님 |
남편의 형 | 아주버님 | 시형 |
남편의 형수 | 형님 | 시형수 |
남편의 동생(미혼) | 도련님 | 시동생 |
남편의 동생(기혼) | 서방님 | 시동생 |
남편 동생의 아내 | 동서 | 동서 |
시누이 관련 호칭 총정리

시누이 관련 호칭이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에요. 제가 결혼 초에 가장 어려워했던 부분이기도 하고요.
남편의 누나는 형님이라고 불러요. 나이가 어려도 형님이에요! 이건 절대 변하지 않는 규칙입니다. 남편의 여동생은 아가씨 또는 아기씨라고 불러요.
그런데 요즘은 이런 호칭을 쓰기 어색해하는 젊은 세대들이 많아서, 아이가 생기면 'OO 고모'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저희 집도 그래요.



그리고 시누이의 남편! 바로 이 글의 핵심이죠. 손위 시누이 남편은 아주버님, 손아래 시누이 남편은 서방님이에요.
일부 지역에서는 시매부님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지칭어에 가깝고 호칭으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게 국어학자들의 견해예요.
처가 호칭과 실무 호칭 가이드



남자가 알아야 할 처가 호칭은 시댁 호칭보다는 상대적으로 간단해요. 전통적으로 시집 중심 문화였기 때문에 처가 쪽 호칭은 덜 발달한 편이거든요.


하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건 알아야죠. 특히 요즘은 처가에서도 예의를 중시하는 분위기라서 더욱 그래요.
장인장모와 처남처제 호칭
아내의 아버지는 장인어른, 아내의 어머니는 장모님이에요. 이건 정말 기본 중의 기본이죠. 요즘엔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아요.
아내의 오빠나 형은 형님이라고 불러요. 단, 나이가 현저히 어리면 그냥 '처남'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아내의 남동생은 처남이고요.



아내의 언니는 처형, 아내의 여동생은 처제예요. 이들의 남편은 각각 형님(처형의 남편), 동서(처제의 남편)라고 불러요.
처남의 아내는 손위든 손아래든 처남댁이라고 불러요. 요즘엔 'OO어머님'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죠.
관계 | 호칭 | 비고 |
---|---|---|
아내의 아버지 | 장인어른, 아버님 | 공식석상에서는 장인어른 |
아내의 어머니 | 장모님, 어머님 | 공식석상에서는 장모님 |
아내의 오빠/형 | 형님 | 나이 차이가 많이 나면 처남 |
아내의 남동생 | 처남 | - |
아내의 언니 | 처형 | - |
아내의 여동생 | 처제 | - |
처형의 남편 | 형님 | 나이에 관계없이 |
처제의 남편 | 동서, O서방 | 친밀도에 따라 |
2025년 현대적 호칭 트렌드
요즘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는 전통적인 호칭보다는 좀 더 간소화된 호칭을 쓰는 추세예요. 특히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복잡한 호칭을 다 외우기도 어렵고, 실제로 쓸 일도 많지 않죠.



예를 들어, 시누이의 남편을 아주버님이나 서방님 대신 그냥 'OO씨'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아졌어요. 아이가 있으면 '고모부'라고 부르는 것도 일반적이고요.
손위 시누이 남편 호칭과 가족 호칭 정리에 대해 더 알고싶은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여성가족부와 국립국어원에서는 2025년 현재 '가족 호칭 정비안'을 통해 더 평등한 호칭 체계를 제안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부모는 모두 '아버님', '어머님'으로 통일하고, 동생들은 모두 '이름+씨'로 부르자는 식이죠.
하지만 여전히 기본적인 호칭은 알고 있어야 해요. 특히 어른들이 계신 자리에서는 전통 호칭을 사용하는 게 예의거든요.
제가 경험해본 바로는, 처음에는 정확한 호칭을 사용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가족만의 호칭으로 정착되는 경우가 많아요. 중요한 건 서로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존중하는 마음이죠.
손위 시누이 남편 호칭과 가족 호칭 정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가장 중요한 건 마음이에요. 호칭을 틀려도 진심으로 대하는 마음이 통하면 가족들이 이해해주시거든요. 저도 처음에 호칭 때문에 스트레스받았는데, 시간이 지나니까 자연스러워지더라고요 :)
마지막으로, 손위 시누이 남편 호칭과 가족 호칭 정리를 한 번 더 정리하면 이래요. 손위 시누이 남편은 아주버님, 손아래 시누이 남편은 서방님. 이것만 확실히 기억하시면 됩니다!
호칭이 어렵다고 너무 스트레스받지 마세요. 요즘은 많은 가정에서 이런 부분에 대해 관대한 편이니까요. 그래도 기본은 알고 있어야 하니,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볼만한 글










